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인간공학기사

인간공학기사 요점 요약 정리 CH6 작업생리학

by 당신의 조력자 2023. 6. 25.

인간공학기사 요점 요약 정리 작업생리학

 

[ 인체 구성 요소 ]

1. 인체의 구성

• 세포 : 인체의 구성과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 근육세포, 신경세포, 상피세포, 결합조직세포

 

• 조직 :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들이 그 분화의 방향에 따라 형성

-분화된 집단

- 근육조직, 신경조직, 상피조직, 결합조직

 

• 기관 : 기능과 구조가 비슷한 세포들이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결합된 형태

- 실질적 기관 : 간이나 심장 등과 같이 조직으로 차 있는 기관

- 유강성 기관 : 위나 방광처럼 내부가 비어있는 기관

 

• 계통 : 몇 개의 기관이 모여서 기능적 단위

① 골격계 : 뼈,연골,관절,인대로 구성되는 인체의 수동적 운동기관으로, 인체를 구성하고 지주역할을 담당, 장기를 보호

② 근육계 : 골격근,심장근,평활근,근막,건(힘줄),활액낭으로 구성

③ 신경계 : 중추신경, 말포신경으로 구성

④ 감각기 : 피부,눈,코,귀,혀 등으로 구성

⑤ 순환계 : 심장,혈액,혈관,림프,림프관,비장,흉선 등으로 구성

⑥ 소화기계 : 입,위,소장,대장,항문

⑦ 호흡기계 : 코,인-후두,기관,기관지,폐

⑧ 비뇨기계 : 신장,요관,방관,요도

⑨ 생식기계 : 남성의 고환,생식기관,부속기관, 여성의 자궁,난소,부속기관

⑩ 내분기계 : 뇌하수체,갑상선,부갑상선,췌장,부신 등

 

• 인간의 부위

- 체간부 : 두부,경부,흉부,복부,골반부 등

- 사지부 : 상지,하지

 

• 인체의 구조와 관련된 용어

- 해부학적 자세 : 전방을 향해 똑바로 서서 양쪽 손바닥을 펴고 발가락과 함께 전방을 향한 자세

- 인체의 면을 나타내는 용어

- 시상면 : 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면

- 관상면 : 인체를 앞뒤로 나누는 면

-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 근위와 원위 : 인체 또는 장기에서 중심에 가까운 위치를 근위, 먼 위치를 원위

- 천부와 심부 : 인체 또는 장기에서 표면에 가까운 위치나 얕은부분을 천부, 깊은부분을 심부

 

2. 근골격계 해부학적 구조

• 골격계

- 인체의 골격계 : 뼈,연골,관절,인대

- 뼈의 구성 : 골질,연골막,골막,골수

- 골막 : 뼈는 골막으로 덮여 있으며, 관절면은 골막이 없고 관절연골로 덮여 있음

- 치밀질 : 골조직이 층판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뼈의 표층을 구성하는 단단한 골조직

- 해면질 : 뼈조직이 지주상으로 배열, 외력에 잘 견딜 수 있는 역학적, 구조적 배열

- 골수 : 골수강 내에서 셋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조혈작용

- 뼈 표면의 형태 : 모든 낱개의 뼈는 골이라 하고, 집단으로 되어있는 뼈를 통틀어 부를때는 뼈

- 뼈의 기능

 : - 인체의 지주역할

 : - 내부의 장기들을 보호

 : - 골수는 조혈기능(혈액속 혈구를 만듬) - 칼슘,인산,나트륨,마그네슘 등의 저장고

 

• 전신의 뼈 : 크고 작은 206개로 구성

① 몸통뼈 - 머리뼈 23개

- 흉곽 : 25개(늑골 12쌍, 흉골 1개)

- 척추 : 32~35개(두개골과 골반 연결)

- 관절돌기 : 위,아래 척추골 연결

- 척추몸통 : 아래쪽 튼튼, 큼

② 팔다리뼈

- 상지뼈 : 양측 64개

- 하지뼈 : 양측 62개

 

• 관절 : 둘 이상의 뼈들 사이의 연결 - 가동관절, 반가동관절, 부동관절

 

• 윤활관절, 연골관절, 섬유관절

 

• 근육의 종류 : 수축성이 강한 조직

- 골격근 : 가로무늬근, 원주형 세포, 수의근, 체중의 약 40%

- 심장근 : 가로무늬근, 원주상이지만 전체적으로 그물조직, 불수의근

- 평활근 : 민무늬근, 긴방추형, 1개의 핵이 존재, 불수의근

 

• 골격근 : 뼈나 힘줄에 붙어 수축을 통해 움직임을 만드는 조직, 전신 약 650개

- 근막 : 근육의 표면을 싸거나 근육무리 전체를 싸는 결합조직의 막

- 건(힘줄) : 근육머리, 근육꼬리는 원칙적으로 힘줄로 되어 있으며 골막에 고착한다

- 힘줄집(윤활집) : 길다란 힘줄을 싸서 보호하는 주머니 모양의 막장치

- 윤활주머니 : 힘줄집과 마찬가지로 근육

- 힘줄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작은 주머니 모양의 막장치

- 도르래 : 힘줄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뼈의 작은 융기

- 종자골 : 힘줄이나 인대속에 생기는 작은 뼈

 

• 근육의 분류 - 머리근육, 목근육, 가슴근육, 복부근육, 등근육, 상지근육, 하지근육

 

• 근육작용의 표현 - 주동근 : 운동시 주역을 하는 근육 - 협력근 : 주동근을 돕는 근육 - 길항근 : 주동근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

 

• 신경계

- 중추신경계통 : 뇌, 척수 구성

- 뇌

 : - 시상하부(항상성유지, 체온유지 조절)

 : - 소뇌(몸의 균형 유지)

 : - 전두엽(언어중추)

 : - 측두엽(청각중추)

 : - 후두엽(시각중추)

- 척수 : 뇌와 말초신경 사이의 신경 전달통로, 무릎반사-땀분비-배뇨 등 반사중추 역할

 

- 말초신경계통 : 체성신경, 자율신경 구성 - 뇌와 척수에서 나와 온몸에 분포,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 자극 전달

 : -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수행, 여러 가지 내장의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역할

 : - 체성신경계 - 감간신경+ 운동신경

 : - 자율신경계 -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구성

 : - 대뇌의 직접 영향 받지 않음

 : - 운동신경만으로 되어 있음

구분 심장박동 소화운동 동공 혈관(혈압) 방광 침분비
교감신경 촉진 억제 확대 수축(상승) 이완 억제
부교감신경 억제 촉진 축소 이완(강하) 수축 촉진

신경계의 구성

 

• 신경조직

- 신경세포 : 세포체와 세포돌기로 구성 (신경단위 : 뉴런)

- 돌기 - 가지돌기=수상돌기 : 자극→신경세포 전달

- 신경돌기=축삭돌기 : 신경세포체 흥분→말초 전달

- 스냅스(연접) : 한쪽 신경세포의 신경돌기가 다른쪽 신경세포의 신경돌기 or 세포체 표면과 만나는 곳

 

• 순환계

- 심장

- 동맥 : 심장 → 말초, 원심성 혈관

- 정맥 : 말초 → 심장, 구심성 혈관

- 모세혈관 : 소동맥과 소정맥을 연결하는 매우 가늘고 얇은 혈관

- 순환경로

- 체순환(대순환) : 좌심실→대동맥→동맥→소동맥→모세혈관→소정맥→대정맥→상대적맥→하대정맥→우심방

- 폐순환(소순환) : 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

 

• 호흡계

- 코 : 외비,비강,부비강

- 인두 : 비인두,구인두,후인두

- 후두 : 후두연골,후두근육,후두강 - 기관,기관지

- 폐 :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

        : 폐동맥,기관지동맥 : 폐 혈액공급

        : 흉막(늑막) 두겹의 막으로 싸여있음

 

[ 작업생리 ]

1. 작업생리학의 개요

• 정의

: 작업생리학은 근로자가 근력을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때 받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와 관련 인간 조직체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 작업생리학의 요소

① 서비스기능 : 작업 근육섬유에 대한 영양분과 산소를 순서적으로 전달하는 기능

② 훈련과 적응 : 훈련은 심장 박동량을 증가, 폐로부터 근육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증가

③ 신체적 요소 : 건강상태, 성별, 인체치수, 나이, 양양상태, 개인차

④ 심리적 요소 : 일에 대한 태도, 동기부여, 수면부족, 스트레스

⑤ 수행되는 작업의 본질

⑥ 환경 2. 대사작용

 

• 근육의 기능 : 인체는 약 400개의 근육으로 구성, 체중의 40~50% 차지, 인체 에너지의 약 1/2을 사용

 

• 근육의 구조 : 근섬유, 연결조직, 신경 근섬유, 근원섬유, 근섬유분절

① 근섬유

- 2가지 종류 : 페스트 트위치(백근,fast twitch) 슬로 트위치(적근,slow twitch)

- FT섬유 : 무산소운동에 동원

- ST섬유 : 유산소운동에 동원 - FT는 ST보다 근육섬유가 2배 빨리 최대장력에 도달, 빨리 완화

- FT는 ST보다 지름 더 크고, 고농충 마이오신 ATP아제로 되어 있음

② 연결조직 : 신경이나 혈관이 근육속으로 드나들 수 있는 경로 제공

③ 신경 : 감각, 섬유, 운동 신경 섬유를 구성

 

• 근육의 구성

- 근육은 근섬유, 근원섬유, 근섬유분절로 구성, 근섬유분절은 가는 액틴(actin)과 두꺼운 미오신(myosin)이라는 단백질 필라멘트로 구성

근육의 구성

- A대 : 앤틴과 미오신의 중첩부분, 어둡게 보임

- I대 : 액틴존재, 밝게 보임

- H대 : A대의 중앙부, 약간 밝은부분, 미오신만 존재

- M선 : H대의 중앙부에 위치한 가느다란 선

- Z선 : I대의 중앙부에 위치한 가느다란 선

 

• 근육의 부착

- 힘줄(건, tendons) : 뼈와 근육 연결

- 인대(ligaments) : 뼈와 뼈를 연결

- 연골(cartilage) : 뼈와 뼈의 완충작용

 

• 근육의 운동 원리

- 근육의 수축 : 근육이 수축할 때 짧아지는 것은 미오신 필라멘트 속으로 엑틴 필라멘트가 미끄러져 들어간 것임

- 등장성 수축 : 수축할 때 근육 짧아짐 - 등척성 수축 : 수축할 때 근육길이 변화없음

- 편심성 수축 : 수축할 때 근육 길어짐

- 근육 활동의 측정 : 근육에서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근전도(EMG)라 하며, 국부 근육활동의 척도로 사용

 

• 근육의 대사

- 신진대사 : 기계적인 일이나 열을 만드는 화학적인 과정

- 무기성 환원과정 : 충분한 산소공급 X 피루브산 → 젖산 변화

- 유기성 산화과정 : 충분한 산소공급 피루브산 → 물, 이산화탄소 분해, 많은 양의 에너지 방출

- 젖산의 축적 : 인체 활동 수준이 너무 높아 근육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할 경우 혈액중에 젖산이 축적됨

- 근육의 피로 : 육체적으로 격렬한 작업중에는 충분한 양의 산소가 근육활동에 공급되지 못해 근육에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를 유발

- 산소 빚(oxygen debt) : 체내에 쌓인 젖산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량

 

• 육체적 작업 부하

- 육체활동 에너지 소비량

- 수면 1.3 kcal/분

- 앉아있기 1.6 kcal/분

- 서있기 2.25 kcal/분

- 걷기(평지) 2.1 kcal/분 -

 

• 작업등급 - 작업등급 에너지 소비량

작업등급 에너지 소비량

 

- 보통작업(5.0~7.5)의 경우 비교적 긴 시간동안 작업할 수 있음

- 8시간 계속 작업시, 남자 5kcal/분, 여자3.5kcal/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

* 기초대사량(BMR, Basal Metabolic Rate) :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

- 기초대사량 = A * x (A=체표면적, x=체표면적당 소비에너지) (A=H0.725*W0.425*72.46) (H=키(cm), W=몸무게(kg))

- 성인 : 1500~1800 kcal/일

- 기초 + 여가대사량 : 2300 kcal/일

- 작업시 정상적인 에너지 소비량 : 4300 kcal/일

* 에너지대사율(RMR, Relative Metabolic Rate) : 작업강도 단위로서 산소소비량으로 측정

 - 작업강도 :

초중작업 7 RMR이상 (기계화)

중(重)작업 4~7 RMR

중(中)작업 2~4 RMR

경(輕)적업 0~2 RMR

 

• 작업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 반응

- 산소 소비량의 증가 : 휴식시 0.5ℓ/분 ~ 작업시 최대 5ℓ/분 증가

- 심박출량의 증가 : 휴식시 5ℓ/분 ~ 작업시 최대 25ℓ/분 증가

- 심박수의 증가 : 휴식시 70회/분 ~ 작업시 최대 200회/분 증가

 

3. 작업부하 및 휴식시간

• 인체활동 부하의 측정 - 산소소비량 : 1ℓ 산소당 5kcal 에너지 방출

- 심박수 : 최대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별, 건강상태 등

 

• 최대산소소비량 - 직접측정 : 부하가 증가하더라도 더 이상 산소소비량이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때 - 간접측정

 

• 최대 심박수 : 나이에 따라 비교적 정확히 예측 - Hr max = 220 - 나이 - Hr min = 190 - 0.62*(나이-25)

 

• 혈압과 분당 환기율

- 혈압 : 대동맥의 압력

- 동맥 압력은 심실이 수축될 때 최대가 되고, 심실의 이완 종료 시점에서 최소

- 정상 : 최고 120mmHg, 최저 80mmHg(±20)

- 고혈압 : 심실의 수축기압 160mmHg, 이완기압 95mmHg

- 분당 환기율 : 분당 호흡된 공기의 양

-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지표로 사용

 

• 육체적 작업능력 : 작업을 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NIOSH에는 직무설계할 때 작업자의 육체적 작업능력의 33%보다 높은 조건에서 8시간 이상 계속 작업하지 않도록 권장

 

• 휴식시간의 산정 : Murrell 공식 

 

[ 생체역학 ]

• 생체역학 : 인체를 뉴턴의 운동법칙과 생명체의 생활학적 법칙에 의하여 움직이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인체에 작용하는 힘과 그 결과로 생기는 운동에 관하여 연구

- 인간의 한계근력, 활동범위, 작업시야, 활동시 인체 각 부위에 걸리는 힘의 상관관계 등

 

• 뉴턴의 운동법칙

- 제 1법칙 : 관성의 법칙

- 제 2법칙 : 가속도의 법칙

- 제 3법칙 : 작용-반작용의 법칙

• 에너지 보존의 법칙(=기계적 에너지 보존의 법칙) : 운동역학적 에너지와 잠재에너지의 합은 움직이는 시스템의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함

 

• 인체동작의 유형과 범위

- 신전 : 굴곡과 반대방향의 동작

- 외전 : 중심선(몸쪽)에서 멀어지는 것

- 내전 : 중심선으로 가까워지는 것

- 외선 :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것

- 내선 : 안쪽으로 회전하는 것

 

• 벡터와 스칼라

- 백터 : 크기와 방향 가짐 (힘,속도 등)

- 스칼라 : 크기만 가짐 (질량,온도,에너지 등)

• 힘의 3요소(특성) : 크기, 방향, 작용점

• 모멘트 : 변형시킬 수 있거나 회전시킬 수 있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 - M = F * d

• 선형평형 : ΣF = 0 (힘의 합이 0일 때)

• 회전형평 : ΣM = 0 (모멘트의 합이 0일 때)

 

• 지구력 : 힘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 수축횟수가 10회/분 일때는 최대 근력의 80%정도를 계속 낼 수 있지만

- 30회/분 일때는 최대근력의 60%정도 밖에 지속할 수 없음

• 근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인자

- 성별 : 여성의 평균 근력 = 남성의 평균 근력의 약 65%

- 연령 : 보통 25~35세 최대근력, 40대부터 아주 서서히 감소, 운동을 통해 약 30~40% 근력 증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 생체반응 측정 ]

1. 측정의 원리

• 스트레스 원인 : 과중한 노동, 정적자세, 더위와 추위, 소음, 정보의 과부하, 권태감 등

• 작업종류에 따른 생체신호의 측정방법

① 동적 근력 작업 : 에너지 대사량, 에너지대사율, 산소섭취량, CO2배출량, 호흡량, 심박수, 근전도 등

② 정적 근력 작업 : 에너지 대사량과 심박수의 상관관계

③ 신경적 작업: 심박수, 매회 평균 호흡 진폭, 수장 피부저항치, 정신 전류 반사

④ 심적작업 : 플리커치 등

⑤ 작업부하, 피로 등의 측정 : 호흡량, 근전도, 플리커치

* 근전도(EMG,electromyogram) : 근육이 움직일 때 나오는 미세한 전기신호로 근육활동의 전위차를 기록한 것

* 플리커치 : 주파수가 낮은 때는 깜빡임(플리커)을 느끼나 곧 연속적인 빛으로 느끼게 됨. 이때 점멸 주파수. 피로상태에 있을 때는 빈도가 떨어짐

 

2. 생리적 부담척도

• 심장활동의 측정 - P파 : 심방 탈분극, 동발결절 흥분 직후에 시작

- QRS파 : 심실 탈분극, 흥분이 방실 결절 → 방실속 → 퍼킨즈섬유에 절달되는 과정

- T파 : 심실 재분극 * 심장활동

- 수축기 : 심실이 수축하는 기간(약 0.3초 지속)

- 확장기 : 심실이 이완하는 기간(약 0.5초 지속)

- 심장주기 : 심실이 수축, 이완하는 일련의 사건(약0.8초 지속), 1분간 약 70주기가 반복되며, 이것이 심박수(HR)

* 부정맥 : 심작박동이 (비정상적) 불규칙

 

• 산소 소비량 측정

- 흡기부피 = (100-O2%-CO2%)*배기부피/79

- O2 소비량 = 21%*흡기부피 - O2%*배기부피

 

• 정신부하의 측정방법 : 주작업 측정, 부수작업 측정, 생리적 측정, 주관적 측정

*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 : 대뇌의 표층을 덮는 신피질 영역에서 어떤 리듬을 가진 미약한 전기활동

 

[ 작업환경 평가 및 관리 ]

1. 조명

• 적정 조명 수준

- 초정밀 작업 : 750lux 이상

- 정밀 작업 : 300lux 이상

- 보통 작업 : 150lux 이상 - 기타 작업 : 75lux 이상

 

• 광도 : 국제표준 촛불(candle), 현재 칸델라(cd, candela)

 

• 조도 : 물체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

- lux : 표준 1촉광의 광으로부터 1m 떨어진 곡면에 비치는 빛의 밀도

- Fc(foot candle) : 표준 1촉광으로부터 1ft 떨어진 곡면에 비치는 빛의 밀도

 

• 휘광 : 눈부심의 정도

① 광원으로부터 직사휘광 처리

- 광원의 휘도를 줄이고 광원의 수를 늘림

- 광원을 시선에서 멀리 위치시킴

- 휘광원 주위를 밝게, 광속발산(휘도)비를 줄임

- 가리개 혹은 차양을 사용

② 창문으로부터 직사휘광 처리

- 창문을 높이 단다

- 창문 바깥쪽에 드리우개를 설치

- 창문 안쪽에 수직날개를 달아 직사선을 제한

- 차양 혹은 발을 사용

③ 반사휘광 처리

- 발광체의 휘도를 줄임

- 일반(간접)조명 수준을 줄임

- 산란광,간접광,조절판,창문에 차양 등을 사용

- 반사광이 눈에 비치지 않게 광원을 위치함

- 무광택 도료, 빛을 산란시키는 표면색을 사용한 사무기기, 윤기를 없앤 종이 등을 사용

④ 실내 추천 반사율(IES)

- 천장 : 80~90%(최소 75%)

- 벽, 블라인드 : 40~60%

- 가구, 사무용기기, 책상 : 25~45%

- 바닥 : 20~40%

 

• 정상적 시계 : 200˚, 색체식별시계 : 70˚

• 조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노화가 가장 빨리되는 기관 : 눈

• 가시광선 파장 : 400~700nm (380~780nm)

- 적외선 : 화상, 열성백내장

- 레이져 : 각막염, 백내장, 망막염

- 전기성 안염 : 320μm이하 파장

 

2. 소음

• 소음의 정의 : 원하지 않는 소리

- 가청한계 : 2*10-4dyne/cm2 (0dB) ~ 103dyne/cm2 (134dB)

- 가청주파수 : 20~20000Hz

- 실내소음 안전한계 : 40dB이상

- 심리적 불쾌 : 40dB이상

- 난청(C5-dip) : 90dB (4000Hz)

- 언어를 구성하는 주파수 : 250~30000Hz

 

• 소음의 허용기준 

D = 소음노출지수

- 누적소음노출지수를 8시간 동안의 평균 소음수준값으로 변환

 

• 방음보호구 사용

- 귀마개의 차음력은 2000Hz에서 20dB, 4000Hz에서 25dB 가져야 함

- 귀마개 : 5dB감음, 귀덮개 : 10dB감음 겸용사용 : 10~20dB 감음

 

3. 진동

• 진동의 구분 - 전신진동 : 2~100Hz에서 장해 유발 (교통차량,선박,항공기,기중기,분쇄기 등)

- 국소진동 : 8~1500Hz에서 장해 유발 (항타기,착암기,연마기,자동식 톱 등)

 

• 진동에 의한 인체장해

- 전신장애 : 순환기 이상, 맥박증가, 발한, 월경장애, 성기위치 이상

- 국소장애 : 진동공구의 무게를 10kg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흉부와 복부의 고통(4~10Hz), 요통(8~12Hz), 두통

-안정피로

-장과방광의자극(10~20Hz)

 

4. 온도, 습도, 기류, 불쾌지수

• 온도의 영향

- 안전활동에 가장 적당한 온도 : 18~21℃

- 안락한계 : 한기→18~21℃, 열기→22~24℃

- 불쾌한계 : 한기→17℃, 열기→24~41℃

 

• 온도변화에 따른 인체의 적응

- 적온 → 추운환경 - 피부온도 내려감

- 피부 경유하는 혈액 순환량 감소, 많은양의 혈액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

-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감 - 소르이 돋고 몸이 떨림

- 적온 → 더운환경 - 피부온도 올라감 - 많은 양의 혈액이 피부를 경유

- 직장온도가 내려감

- 발한이 시작

• 수작업 한계온도 : 13~15.5℃

• 열교환 과정 : 기압은 열교환에 영향X

 S = M - E + R + C - W

열수축 대사 증발 복사 대류 한일 

 

• 실효온도(=체감온도=감각온도)

- 결정요소 : 온도, 습도, 대류(공기유동)

- 종류 : Oxford 지수, 습구 글로브온도, Botsball 지수

- Oxford 지수 : 습건(WD)지수 WD = 0.85W + 0.15D

 

• 습도 : 대부분의 사람들은 70%RK지는 안락하지만 가장 바람직한 상대습도는 30~35%

 

• 기류

: 작업장의 기류는 속도 6~7m/분 정도가 적당, 환기를 위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1/20이상 또한, 기온이 10℃이하일 경우 1m/s 이상의 기류에 직접 접촉을 금지

 

• 불쾌지수(DI,discomfort index)

- DI = 0.72*(건구온도+습구온도)+40.6

- 70이하 : 모든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진 않음

- 70이상 : 모든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

- 80이상 : 모든 사람이 불쾌감을 느낌

- 불쾌지수 위험한계 : 75%

- 과반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는 범위 : 70~80%

 

5. 실내공기

• 일산화탄소 : 질식성가스, 공기중허용한계(50ppm)

• 이산화탄소 : 질식성가스, 공기중허용한계(3000ppm)

 

6. 교대작업

• 반복주기 : 정확하게 24시간 주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25시간 주기로 반복됨

• 수면 가성 주기 : 8시간 잠을 자고 16시간 깨어 있는 것을 기본, 실제로는 하루에 두 번, 한번은 밤에, 한번은 정오가 조금 지난 다음에 졸음을 느끼게 됨

• 교대작업의 편성 - 이상적인 교대제는 없음 - 보통 오전근무 → 저녁근무 → 밤근무 순환

 

※ 기재된 자료들은 문제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인간공학기사 필기 공부법 합격 후기 1일 벼락치기 요약 요점 정리

 

인간공학기사 필기 공부법 합격 후기 1일 벼락치기 요약 요점 정리

어그로 아니고 정말 하루 공부하고 합격했습니다....ㅠ 저도 시험 끝나고 모니터에 결과가 딱 나왔을 때 너무 얼떨떨했습니다; ~ 여기부터는 사담입니다 ~ 어제 오늘 심정을 Q&A로 나타내면 다음

studyupgrade.tistory.com

인간공학기사 필기 실기 계산식 요약 요점 정리집 총정리 pdf hwp

 

인간공학기사 필기 실기 계산식 요약 요정 정리집 총정리 pdf hwp

저번 글에서는 비전공자가 어떻게 하루만에 인간공학기사 필기 시험을 합격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방법을 소개해드렸었는데요. 인간공학기사 필기 공부법 합격 후기 1일 벼락치기 요약 요점 정

studyupgrade.tistory.com

 

반응형

댓글